전체 글16 화산의 종류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 이란 활화산은 현재 활동 중이고 앞으로 분출이나 분기가 예상되는 화산을 말한다. 휴화산은 지금은 활동하지 않으나 문헌에 분화(噴火) 기록이 남아있는 화산, 혹은 지형이나 분출물의 성질에 근거하여 앞으로 분화가 예상되는 화산이다. 사화산은 유사(有史) 이래 현재까지 화산활동의 기록이 없는 화산이다. 오늘날에는 앞으로 활동할 염려가 있는 화산을 활화산이라 하여 그 밖의 화산과 구별하는 것이 보통이며, 휴화산, 사화산이란 말은 쓰이지 않는다. 휴화산의 개념이 폐지되면서 1만년 이내 분화했던 기록이 남아 있으면 언제라도 다시 분화할 수 있는 활화산으로 보게 되었고 이에 따라 백두산, 한라산, 울릉도도 활화산으로 보고 있다. 해저화산은 해저에 생긴 화산을 말한다. 화산의 종류로 보자면 땅.. 2024. 1. 12. 지진해일 지진해일은 지진에 의해서 생기는 해일이며 쓰나미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지진 발생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지진해일이 먼 거리에서 발생했을 때 지진해일에 대해서는 그 도착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진이 일본 북서 근해(동해 북동부 해역)에서 발생했다면 1시간에서 1시간 30분 후 대한민국 동해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지진 발생 후 지진해일이 일어날 것인가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찾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바다 밑에서 일정 규모 이상 얕은 지진이 일어날 경우 주의보나 경보를 발표하는 것이 국제관례이다. 2024년 1월 1일 일본 노토반도 인근에서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한 후 2시간이 지나지 않아 동해안 남항진에 최고 20cm 높이의 지진해일이 도달했으며 오후 6시6.. 2024. 1. 11. 화산이란 화산은 마그마 등의 물질이 행성 표면을 뚫고 나와 분출하여 만들어진 지형이다. 화산은 판의 경계에서 주로 나타나며 두 판이 갈라지는 곳에서는 활발한 화산활동이 일어나는데, 해저의 중앙해령과 그 연장선상의 아이슬란드가 좋은 예이다. 대륙지각에서는 동아프리카 지구대, 리오그란데 열곡, 아이펠 화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판이 서로 수렴하는 곳에서도 화산활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쿠릴 열도에서 일본 열도와 마리아나 제도를 거쳐 뉴질랜드에 이르는 서태평양의 호상열도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변환단층 경계에서는 화산활동이 드물다. 발산형 경계의 화산활동은 덜 파괴적이고 점성이 낮은 마그마가 분출되는 데 반하여 수렴형 경계의 화산활동은 폭발적이며 분출되는 마그마는 점성이 높다. 이는 근원 마그마가 형성되는 작용이 다.. 2024. 1. 9. 판 구조론 판구조론은 '대륙 이동설'을 설명하는 것에서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과학자가 판 구조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판 구조론에 따르면 지구 내부의 가장 바깥 부분은 암석권과 연약권의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판구조론은 대륙 이동을 설명하는 지질학 이론이다. 판구조론은 서로 다른 두 학설로인 20세기 초반에 인식되게 시작한 대륙 표이설과 1960년대 들어서 알려지게 시작한 해저 확장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판구조론은 1960년대 후반부터 발달하였는데, 그 후 지구과학의 혁명을 일으키며 거의 모든 과학자에게 받아들여졌다. 이것은 화학에서의 주기율표, 생물학의 유전 코드의 발견, 그리고 물리학의 양자역학에 비견되는 혁명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여진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지구 표면의 주요 형태.. 2024. 1. 9. 이전 1 2 3 4 다음